조성환은 과거 “당구든 볼링이든 다른 종목은 다 져도 상관없는데 이상하게 축구는 너무 지기 싫다. 경기장만 도착하면 피가 뜨거워진다”고 전한 바 있다. 그는 “나는 좀 지나친 면이 있는 게 사실이지만, 사실 한국 선수들 너무 얌전하다. 예의를 중시하는 문화적인 면이 영향을 끼쳤겠지만, 경기는 이 악물고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자신의 직업인데, 당연히 최선을 다해야하는 것”이라면서 프로다운 자세를 강조했다.
캡틴으로서의 리더십도 출중하다. 조성환은 “후배들에게 잔소리를 많이 하는 편이다. 경기 중에는 그나마 자제하는데 연습 때는 좀 무섭게 한다. 축구선수가 게을러서는 안 된다고 본다. 운동장에서 말로만 축구하는 선수가 되어서는 안된다”며 책임과 의무를 강조했다. 사고방식이 최강희 감독이 원하는 그 지점과 맞닿아 있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필드 밖에서는 순한 양이다. 인터뷰를 할 때나 팬들과 만날 때는 수줍어한다고 느껴질 만큼 달라진다. 마치 두 얼굴을 하고 있는 ‘야누스’ 같은 인물이다. 어쩌면 그런 양면성 때문에 팬들의 더 큰 사랑을 받았는지 모른다.
최강희 감독은 “아직 전북은 더 만들어져야하는 팀이다. 지금보다 훨씬 강한 팀을 만들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한다”며 당장은 부족하다는 뜻을 전했다. 그리고 ‘진짜 강한’ 팀을 위한 정지작업으로 전직 캡틴 조성환을 호출했다. 파이팅이 필요한 전북에 ‘야누스 파이터’ 조성환이 돌아온다. 기대감이 높아지는 만남이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occer&ctg=news&mod=read&office_id=421&article_id=0001204786&date=20150108&page=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