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반 들어 달라진 것은 구자철의 역할을 남태희가 이어받은 후부터 시작됐다. 남태희는 구자철에 비해 볼을 연결하거나 본인이 끌고 다니는 데 한결
스피드를 올렸다. 드리블에 자신이 있는 만큼 수비가 밀집된 중원에서도 흔들었고 측면으로 자주 빠지는 움직임으로 공격진의 다채로운 동선을
이끌어냈다.
특히 남태희가 측면으로 빠졌을 때는 이명주가 위로 올라와 볼을 전개하는 확실한 역할 체인지가 보이면서 대표팀의
점유율이 계속 올라갔다. 결국 대표팀은 종료 직전 페널티박스를 홀로 돌파한 남태희에서 출발해 이정협의 추가골을 만들면서 웃으며 모의고사를
끝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