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1번 배너2번

채팅방 접속자 :

접속회원 목록
출석
순위 출석시각 별명
출석한 회원이 없습니다.
생일
방문자
오늘:
95
어제:
562
전체:
4,137,702

DNS Powered by DNSEver.com
.


http://m.sport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111&aid=0000470096

성적 지상주의는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다. 2000년대 중반만 해도 K리그 시장에 거액의 자금이 돌았지만 그 누구도 돈을 벌었다고 하는 주체는 없다. 당시의 상황은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 구단의 재정 악화가 뻔히 보이는데도 강등을 피하고자 승리수당을 평소의 두 배로 책정하는 구단들의 행태는 공공연한 비밀이었다. 승강제 도입 후에는 돈을 써서 클래식에 살아남는다면 다음을 도모할 수 있다는 단순한 생각들이 만연했다. 구단 대표가 대부업체에 손을 벌리는 사태까지 있었다고 하는데 언제든지 반복 가능하다.

프로축구연맹 이사회는 지난 2009년 각 구단의 위기 극복을 위해 승리수당 폐지를 결의했다. 운영비에서 최대 80% 가까이 되는 선수단 임금을 줄이고 마케팅비 등 더 돈이 필요한 곳으로 돌려보자는 일종의 합의였다. 그런데 어느 사이엔가 승리수당은 조용히 살아났다. 승리수당은 물론 골, 출전 수당 등 세분화해 돈을 지급하는 경우도 있었다.

시도민 구단들은 부채에 허덕이고 재정 바닥으로 임금을 체납하는 상황이 종종 벌어지지만, 이 역시 지원이 부족하다며 지자체 탓으로만 돌릴 뿐이다. 일본, 중국, 태국 등 뛸 곳이 많아진 선수들을 붙잡기 위해 수당은 고육지책인 셈이다.

A기업구단 단장급 인사는 "과거에는 선수들에게 연봉 줄여서 남아 달라고 하면 다른 곳 가겠다고 으름장을 놓는다. 그러면 결국 돈으로 붙잡았다. 지금은 어떤가. 구단은 돈을 더 줄이면서 선수들은 도태되고 구단은 없는 살림으로 어렵게 운영하고 있다. 서로 모순이 생겨버렸다. 이런 현상은 결국 리그의 질을 떨어트리고 멀리는 국가대표에도 영향을 끼친다"라고 주장했다.

다른 의견도 있다. 시도민구단에서 일했던 전직 임원급 인사는 "승강제가 도입됐으면 누구나 강등을 피하고 싶은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강등을 통해 구단 시스템에 변화를 주면서 독립, 건전성을 확보하는 것도 필요하다. 해외 리그만 봐도 강등 후 다시 승격해 좋은 결과를 내는 구단들이 많지 않은가. 우리의 경우 다르다. 지자체에서 구단 운영비가 어떻게든 나오니 성적에만 목을 맨다. 빨리 클래식에 올라가자는 속도전만 있지, 어떻게 돈을 벌까 하는 의문은 없다"라고 아쉬운 점을 전했다.

기업구단도 다를 바 없다. 글로벌 기업이 모기업인 구단들은 K리그를 통한 홍보에는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있다. 수원 삼성의 모기업이 삼성전자에서 제일기획으로 이관된 현실적인 난관들이 확인되고 있다. 다른 기업 구단들도 스포츠단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영진이 일반 기업 운영을 하듯이 자금을 집행하다가 탈이 나는 경우도 있었다.

프로인 이상 결국 돈을 버는 구조가 만들어져야 하지만 이 역시 쉬운 일은 아니다. 팬층이 약한 것이 최대 약점이다. 구단이 자체 상품을 만들고 싶어도 구매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아이디어가 서랍 속에서 잠들어버린다. 용품 스폰서도 만들면 손해라는 인식이 퍼져 될 수 있으면 피하려고 한다.

구단 직원들은 슈퍼맨에 가깝다. B구단의 한 직원은 선수단 관리 업무를 맡으면서 원정 경기에서는 홍보 업무까지 한다. 전혀 다른 업무를 혼자 다 처리하고 있는 셈이다.

잡무가 많으니 구단 입사 전 비전을 갖고 공부를 통해 실현하고 싶어하던 아이디어는 피로 누적에 밀려 수첩에서 나오지 못한다. 상업적 자세를 갖추지 못한 상사를 대해야 하고 의전도 해야 한다. 팬 관리도 기다린다. 팬들도 인식 변화를 보여주지 않으면 K리그는 마니아만 사랑하는 리그가 될 수 있다. 최근 자주 터지는 팬들의 구단 버스 가로막기가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이유다

진심으로 응원하는 팀이라면 자비를 들여 원정 응원을 가는 것이 상식이지만 일부 팬들은 구단이 제공하는 버스를 타는 것을 당연하게 여긴다. 구단 도움 없이 자체적으로 이동하는 팬들이 많지 않다. 팬 문화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점이 있느 것이다.

한 구단 고위 관계자는 "시장 원리에 맡겨야 한다. 군팀이 함께 뛰고 있는 구조가 정상적인가. 승강제 구축을 위해 억지로 끼워 맞춘 성격이 강하다. 군팀은 시즌 끝에 선수들의 전역으로 경기력이 떨어져 태업 논란을 겪으며 승점을 헌납하는데 이런 리그에 누가 관심이 있겠는가. 시도민구단도 자생력 있는 구단들만 살아남게 해서 리그다운 리그를 만들어 놓아야 한다"라고 리그의 체질 강화를 주장했다.

그렇다면 구단의 자생력 강화를 위한 해법은 없을까. 뻔한 문제 인식이지만 반드시 찾아내야 한다는 것이 축구계의 중론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공지 회원 차단, 스티커샵 기능 추가 안내 12 file KFOOTBALL 2017.04.17 8 8163
공지 KFOOTBALL iOS 앱(v1.0) 배포 12 file title: 인천 유나이티드_구Gunmania 2016.04.22 10 12014
공지 공지 사이트 안내&이용 규정 (17. 3. 3 개정) 7 title: 2015 국가대표 10번(남태희)보시옹 2012.02.13 8 437708
11682 [개siri]이거나 보고 가라. 3 에위니아 2016.10.27 0 135
11681 국내축구 윤석영이 드디어 덴마크 데뷔전을 가졌군 4 title: 인천 유나이티드CherryMoon 2016.10.27 0 123
11680 울산빠가 깃발던진 이유 10 file title: 2015 수원B 10번(산토스)Radoncic 2016.10.27 0 321
11679 (개풍자)하상욱 시인 대박 ㅋㅋㅋㅋㅋ 2 title: 인천 유나이티드_구05내사랑 2016.10.27 0 265
11678 카툰 축구팬 여친되기! '16 - #1 축구보러 가는길 6 새노트 2016.10.28 1 253
11677 캐클 순위표를 보다가 놀라운점을 발견했다 2 title: FC안양오뎅바 2016.10.28 0 197
11676 축구뉴스 내셔널리그 4강행 ‘막차를 잡아라’ title: 부산교통공사부산도시철도 2016.10.28 0 24
11675 축구뉴스 고양 자이크로, 프로에서 빠진다 6 title: 부산교통공사부산도시철도 2016.10.28 1 142
11674 고자 리그 탈퇴 22 Pindakaas 2016.10.28 0 363
11673 축구뉴스 "권창훈 개XX" 외친 울산 팬…그들에게 권창훈을 욕할 권리는 없다 title: 수원 삼성 블루윙즈_구현이 2016.10.28 0 85
11672 울산 다녀온뒤 이제야 수뽕에서 깨어남 2 고공 2016.10.28 0 100
» 축구뉴스 K리그 건강한가요? ②책임-윤리의식은 어디에 여촌야도 2016.10.28 0 47
11670 뭐? 리그탈퇴? 1 file title: 인천 유나이티드_구계양산도사 2016.10.28 0 201
11669 울산은 이제 약팀 아니냐 5 title: 2015 울산H 6번(마스다)우미리코바 2016.10.28 0 79
11668 국내축구 상주 1차 합격자 16 file title: 수원 삼성 블루윙즈조나탄 2016.10.28 0 3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911 9912 9913 9914 9915 9916 9917 9918 9919 9920 ... 10694 Next
/ 10694
.
Copyright ⓒ 2012 ~ KFOOTBA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