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축구연맹(총재 권오갑, 이하 '연맹')은 19일 서울 종로구 신문로 축구회관 2층 다목적회의실에서 2015년 제1차 이사회와 정기 총회를 열어 2014년 구단별 입장수입 현황을 공유하고, 프로심판운영제도 및 군팀 선수의 원소속팀 출전 금지 변경, 허정무 부총재를 비롯한 신규 임원 선출 등의 안건을 심의했다.
-> 오냐 해 봐라..
□ K리그 재정 건전성 확보와 팀 간 선의의 경쟁을 유도하기 위하여 2014시즌 각 구단의 유료 관중수 및 입장수입을 공유했다. K리그 클래식 총관중은 1,810,189명, 경기당 평균관중 7,905명, 객단가 3,459원이며, 수원(총 372,551명, 평균 19,608명), GS(총 323,244명, 평균 17,013명), 전북(총 249,954명, 평균 13,155명) 순으로 가장 많은 관중을 모았다. 이중 GS가 객단가 6,322원(유료관중비율 87%)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K리그 챌린지는 총관중 224,466명, 평균 1,227명, 객단가 2,435원이며, 대전이 가장 많은 경기당 3,197명을 모았고, 안양이 객단가 3,231원(유료관중비율 64%)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 까는 건 좋지만 까서 의욕저하 되면 곤란한데 말이지.. ㅇㅇ
□ 이사회는 각 구단별 광고사용료 지급에 대해 구단별 관중에 따른 차등지급제도를 폐지하기로 의결했다.
-> 사실 이번 이사회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거.. ㅇㅇ 구단별 관중으로 구분하면 비교적 대도시에 있는 구단들이 유리한 게 뻔한 상황에서 그걸 또 차등지급한다고 했으니...
□ 연맹의 2014년 경영실적은 수입 242억 4천만원, 지출 225억 6천만원이며, 2015년 사업계획 예산은 수입 247억 1천만원, 지출 241억 6천만원으로 심의, 승인하였다. 연맹은 2015년 '리그 스트럭쳐 고도화'와, '비즈니스 자생력 마련'을 경영목표로 세우고, '리그 시스템 업그레이드', 'K리그 콘텐츠의 경쟁력 강화', '이윤 창출 체제 전환으로의 기틀 마련', '2부리그 행정 밀착 지원'을 중점추진과제로 정했다.
-> 뭔가 거창하긴한데.. 흠.. 하는 거 봐야지 뭐. 눈에 띠는 키워드는 '스트럭쳐(구조)', '자생력', '시스템', '콘텐츠' '이윤 창출' '2부리그'... 그래도 헛다리 짚는 말들은 아니라서 다행이라고해야 하나..
□ 2015년부터 실시하기로 했던 25인 로스터제도가 폐지된다. 유스 강화를 통한 리그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2012년 제8차 이사회를 통해서 제정되었던 25인 로스터제도는 제정 당시와 적용 시점상의 축구계 환경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폐지하기로 했다. 2016년부터 R리그(2군)도 부활한다. 2012년까지 운영되었던 R리그는 2016년부터 구단별 상황을 고려, 자율 참가를 원칙으로 재운영 된다. 단, 참가 희망 구단이 적을 경우 운영을 재검토 하기로 했다. 또한, K리그 산하 유스팀은 기존 하계 고등전국대회는 참가하지 않는다. 대신 K리그 산하 유스팀간 별도의 하계 고등전국대회를 창설한다.
-> 25인 로스터 하려다가 만 것은 25인 로스터 하려다가 그 이상 연령의 잉여 선수들이 발생해 상위권 팀들은 그 선수들을 아쉬워도 보내야 하는 상황이고, 비교적 하위권 팀들은 그 선수들의 연봉을 감당해내지 못 하는 상황이라 동남아 중국 등지로 선수들이 유출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아마도 하려고 했던 그 시점에는 이 점에 대한 고려가 없다시피 했다고 보는 게 맞지 않나 싶다. 이래서 사필귀정이라 했나.
-> R리그 부활은 내 예전 글들에서도 자주 언급했었다. 난 이거 환영이다. 2012년도에 폐지 시점에 R리그처럼만 운영한다면 나쁠 것도 없고, 오히려 구단 내 유스 선수들이 2군이지만 성인레벨의 체험도 가능하다. 2012년도 폐지 시점의 R리그는 연령제한이 있어서, 연령 오버되는 선수는 3명까지밖에 뛸 수 없었고, 그로 인해 부족한 인원은 구단 유스팀에서 뽑아서 쓸 수 있고, 그 인원수는 무제한이었지. 그래서 강릉제일고 박요한(당시 3학년)이라던가 임준혁(당시 2학년) 한석희(당시 1학년) 같은 선수들이 R리그에서 성인레벨의 축구를 체험했다.
-> 개리그 산하 유스팀간 대회는 나 같은 경우에도 찬성. 클럽 축구 시스템으로 나아가는 전초과정이기도 하고, 준프로화도 기틀이 잡히는 일이라 본다. 이는 이웃나라 일본.. J리그의 유스 시스템이 학원 축구 대회와 J리그 유스 클럽 대회를 나눠 치르는 것과도 같다. 학원 축구와 클럽 축구를 분리해서 운영하는 것이 나름 합리적이지 싶네...
□ 전임심판제를 폐지하고, 전담심판제를 도입한다. 전담제가 시행되면 특정 인원과의 계약이 아닌 프로 경기를 볼 수 있는 가용 심판 인원을 상시 운영하게 된다. 또한, 가용 심판 인원이 2014년 기준 46명에서 약 70명까지 늘어나 심판간의 무한경쟁이 가능해진다.
-> 이야... 이거 잘 될까? ㅋㅋㅋ 잘 되면 대박 ㅋㅋㅋㅋ
□ 2015시즌부터 군팀 선수의 원소속팀 출전 금지 제도가 폐지된다.
-> 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씨발
□ 총회에서는 임원 선출과 서울이랜드FC의 회원 가입이 승인됐다. 허정무 전 대한축구협회 부회장은 연맹 부총재에 선출됐다. 허정무 부총재는 경기위원장을 겸임하며, 심판위원장에는 조영증 위원장이 임명됐다. 김천수 안진회계법인 상무이사는 감사로 선출됐다. 또한, 신임이사 4명도 선출됐다. 신임이사에는 이철근 단장(전북현대), 장석수 대표이사(SK), 임은주 대표이사(강원), 한규정 단장(충주)이 선임됐다.
-> 허정무의 연맹 부총재 선출... 환청이 들린다... 이건.... 드라마 <아내의 유혹> 메인 테마송... ㄷㄷㄷㄷ
-> 심판위원장에.... 누..누구..??
-> 임은주 사장이 이사로 선출되었단 소식은 페북을 통해 들었던... 조광래의 적극 추천이 있었다고 하대.. 허허.. 이철근 장석수 이 양반들도 개클에서 쟁쟁한 양반들이고, 한규정 단장도 꽤 능력 있는 분으로 아는데.. 나름 판이 잘 깔렸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