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참에 지방자치단체 구단들 다 해체하자는 식의 글이었던 거 같은데.
그게 답일 수도 있겠다. 좀 극단적이기는 하지만..
이런 식으로 정치적 도구로 계속 휘둘리는 것이 과연 옳은것일까
당연히 방법을 찾아야 하겠지만 아랫 돌 빼서 윗돌 막는 식으로 하는게 한계가 있겠지
@include _XE_PATH_."modules/zzz_menu_new/menu_include.php"; ?> @include _XE_PATH_."modules/zzz_menu_new/menu_include.php"; ?> @include _XE_PATH_."modules/zzz_menu_new/menu_include.php"; ?> @include _XE_PATH_."modules/zzz_menu_new/menu_include.php"; ?> @include _XE_PATH_."modules/zzz_menu_new/menu_include.php"; ?>
이참에 지방자치단체 구단들 다 해체하자는 식의 글이었던 거 같은데.
그게 답일 수도 있겠다. 좀 극단적이기는 하지만..
이런 식으로 정치적 도구로 계속 휘둘리는 것이 과연 옳은것일까
당연히 방법을 찾아야 하겠지만 아랫 돌 빼서 윗돌 막는 식으로 하는게 한계가 있겠지
Pure Sports Pure Football
대전도 시민구단 이전에는 컨소시움 형태로 창단되긴 했지만, 대전시설공단 소유인 구장 내에서 수익창출을 할 수 있는 부분이 전혀 없으니, 하나 둘 빠져나가고 결국은 시민구단이 된 거고.
하지만, 무조건 해체는 반대. 시민구단들의 나름 이상향이라고 할 수 있는 소시오식 운영이 가능하도록 저변만 만들어진다면, 오히려 그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봄. 박원순 시장도 서울에 그런 축구팀 하나를 만들고 싶어하기도 했고.
인천처럼 대전도 정치에 많이 휘둘리고 있지만, 시민들이나 팬들이 계속 현 체제를 지지하다 보니 시장이 바뀌어도 사장이나 감독도 유지되고 있는 것을 보면, 돌파구는 없지 않다고 봐. 물론 성적이 좋지 못하면 경질론이 부상할테고 그 때 책임소재를 묻다보면 또 반복이 되고 하겠지만...
일단 미국식 스포츠 문화가 조금 더 강한 우리나라에서, 로컬 기반 스포츠 문화가 토대인 축구가 잘 살아나려면, 서로 배우기도 하고 그래야 된다고 생각함. 결론은 무조건 적인 해체는 반대하지만, 좋은 사례를 만들어 보는 것에는 의의가 있다고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