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1번 배너2번

채팅방 접속자 :

접속회원 목록
출석
순위 출석시각 별명
출석한 회원이 없습니다.
생일
06-02
rjj231
방문자
오늘:
189
어제:
676
전체:
4,137,234

DNS Powered by DNSEver.com
.


KBO 2014시즌 타고 

 

“Chicks dig the long ball” 1990년대 후반 나이키의 광고 문구이다나이키의 이 광고에서현재 명예의 전당에 올라있는 투수인 그렉 매덕스와 톰 글레이빈이 장타를 뿜어내는 마크 맥과이어를 부러워하면서도 질투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또한 광고는 맥과이어의 거대한 몸집을 강조하면서 동시에 그러한 힘과 남자다움에 매료된 팬들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15년 후오늘날 우리는 당시 타고의 시기에 운동능력향상보조물(P.E.D)이 매우 큰 역할을 했음을 알고 있고 그 시대는 지금 스테로이드 시대로 알려져있다.

 

요즘 KBO에서도 비슷한 유형의 타고 현상을 살펴볼 수 있다. 10년 동안 천천히 진행되었던 메이저리그의 사례와는 달리 KBO에서의 이 현상은 한 시즌 정도밖에 되보이지 않는 시간에 갑작스럽게 나타났다이러한 2014 시즌 KBO의 타고 현상에 대한 주요한 이유를 설명하고자 한다.

 

2014 야구 시즌이 시작되면서몇몇 선수들주로 투수들이 이번 시즌부터 쓰이고 있는 새로운 야구공에 대해 불평하는 것을 들을 수 있었다공의 변화와 외국인 선수의 추가 영입은 경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물론 이러한 원인들이 큰 영향을 미치기도 했으나놀랍게도 외국인 선수가 불러온 영향은 공의 변화가 불러온 것 보다는 훨씬 적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이 글에서는 2012 시즌과 2014 시즌을 비교하려고 한다두 시즌간 비교를 통해 타고 현상 속에서 만들어진 숫자들이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그렇게 승리와 직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2012 시즌은 평범했던 한 해였다이대호의 출국과 이승엽·김태균의 복귀그리고 박병호의 등장들이 공격측면에 있어 주요 이야기거리였다. 2012시즌 KBO에는 아직 여덟 개의 구단만이 존재했는데이 여덟 개의 구단은 총 532게임동안 4380의 득점을 기록하였다이것은 1경기당 8.2개의 득점이 나왔다는 것이고한 팀당 4.1개의 득점을 냈다는 것이다. 2012시즌에 615의 홈런이 나왔으며 이는 경기당 평균 1.15의 홈런이 기록되었다는 뜻이다.

 

2014시즌은 공격의 관점에서는 매우 특별한 시즌이다. 9 10일 기준으로 505경기 동안 5762의 득점이 쏟아져 나왔다경기당 11.4개의 득점이 기록되었으며각 팀당 5.7점의 득점을 올렸다고 볼 수 있다. 2012시즌에 비해 40% 증가된 수치임을 알 수 있으며홈런의 경우 1047로 무려 80%나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이 숫자들이 의미하는 바를 요약하고자 한다면 2012년에 10개의 홈런을 쳤던 선수가 2014년에 같은 홈런생산력을 갖기 위해서는 18개의 홈런을 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타점의 경우에는 50개의 타점을 만든 선수의 입장에서는 70개의 타점을 만들어야만 공격력에 있어서 같은 임팩트를 보여줄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숫자들은 가히 충격적이라 할 수 있다몇몇 사람들은 외국인 선수의 추가 영입이 이러한 타고 현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할 수 있다다른 사람들은 투수의 구위가 떨어졌다고 말할 수도 있고혹은 타자들이 예전보다 발전했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그러나 필자는 넥센의 내야수 강정호와 롯데의 외야수 손아섭그리고 한화의 1루수 김태균을 예로 들어어떻게 새 야구공이 다른 요소들보다 이러한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는 데 깊이 작용했는지를 제시할 것이다.

 

강정호는 요즘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그의 뛰어난 성적은 마구마구라는 게임에서나 볼 수 있을 것처럼 비현실적이고 놀랍다메이저리그 계약에 대한 이야기와 관련해메이저리그 구단들은 장기적인 투자를 하기 전에 강정호의 기록을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2012 시즌 동안 강정호는 25개의 홈런, 32개의 2루타, 21개의 도루를 기록하며 MVP  후보로 거론되었다. OPS .973으로강정호의 기록은 팀 전체의 공격에 있어 20%를 차지하였다. 2014년 시즌에 강정호는 이미 38개의 홈런과 33개의 2루타그리고 1.219라는 놀라운 OPS을 기록하고 있다만약 2012년에 올해와 같은 기록을 세웠다면 그가 팀의 공격에 차지하는 비중은 31%에 육박했을 것이지만 올해 기준으로 보면 22% 에 그친다강정호의 놀라운 기록에도 불구하고 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 밖에 증가하지 않은 것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손아섭은 KBO에서 가장 재미있고 신나는 선수라고 할 수 있다. 2012 시즌 손아섭은 .314의 타율, 5홈런, 58개의 타점을 기록했다팀의 공격에서 그가 차지하는 비중은 14%였다이번 2014시즌에 113게임 동안3 6푼의 타율과 14홈런그리고 64타점을 기록하고 있으며특히 홈런의 경우 세 배 정도 증가하였다. 2014의 기록들을 2012년에 세웠다고 한다면 팀 득점기여도에 25%을 차지했을 기록들이지만 올해 기준으로는17%을 차지하고 있다올해 영입된 외국인 1루수 루이스 히메네즈가 상당한 시간을 무릎 부상으로 빠졌음에도 불구하고손아섭이 공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리그 평균에 비해 조금 증가한걸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언급할 선수는 한화의 김태균이다. KBO의 어떤 선수보다 김태균은 꾸준한 기록을 만들고 있다일본에서 돌아온 2012시즌에 김태균은 .363의 타율과 16개의 홈런그리고 1.010의 OPS를 기록하였다. 2014시즌에는 .369의 타율, 16개의 홈런그리고 1.039의 OPS를 기록하고 있다언뜻 보면 김태균은 이번 시즌을 2012년과 거의 같은 페이스로 보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김태균 또한 정근우이용규펠릭스 피에김태완 등의 선수들이 보강된 라인업에 놓여있고 실제로 2012년보다 2014년에 팀이 더 많은 득점을 올리는데 돕고 있다그러나 2012년에 팀 전체의 득점 중 21%를 담당하던 것에 비해 올해는 17%로 오히려 득점기여도 비중이 줄어들었다.

 

이 글을 읽기 전에 KBO의 팬들과 구단 사람들그리고 선수들은 강정호의 2014시즌 기록들이 김태균의 2012시즌 기록들보다 팀 승리에 더 많은 기여를 했다고 의심없이 말했을 것이라 생각한다그러나 두 선수는 각각의 시즌에 비슷한 팀내 득점기여도 비중(2014 강정호22%, 2012 김태균 21%)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언급한 세 선수들은 KBO에서 명실공히 가장 훌륭한 공격수들이며 각 팀의 큰 자산이다필자는 세 가지 이유로 이 선수들을 예시로 활용하였다꾸준한 경기력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각자 다른 구장에서 다른 지역을 연고로 하는 팀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것그리고 2014년 영입된 외국인 타자들과는 확연히 다른 타입의 플레이를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 바로 그 이유들이다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해봤을 때, 2012시즌과 2014시즌의 알려진 변수는 공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추후에 2014 시즌에 관한 새로운 변수들을 알아낼 수 있겠지만현재까지는 공의 변화가 이번 시즌 타고 현상에 있어 많은 부분 작용했다고 말할 수 있다선수들을 평가함에 있어서 알려진 모든 변수를 고려하는 것은 가장 좋은 선택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The Offensive Explosion of the KBO in 2014

 

“Chicks dig the long ball” is a phrase from a late 1990’s Nike commercial.  Current Hall of Fame pitchers Greg Maddux and Tom Glavine displayed an envious yet jealous attitude at Mark McGuire for his ability to hit towering home runs.  The commercial also made a not so subtle gesture towards McGuire’s enormous body type and the fan base that was attracted to players with such strength and power.  Fifteen years later, we now know that P.E.D’s played a huge role in the offensive outbreak that took place during what is now known as baseball’s steroid era.  Currently in the KBO, we are seeing a very similar type of offensive outbreak.  Unlike the outbreak that took place slowly over the course of a decade in the Major Leagues, the KBO explosion has taken place in what feels like a single season.  I am writing this article to try to explain the main reason that I believe there has been an offensive explosion in the KBO for the 2014 season. 

 

At the start of the 2014 baseball season, I heard some KBO players, mostly pitchers, grumbling over new baseballs that were being used this season in the KBO.  A change in baseballs along with the addition of a foreign position player could drastically impact the game.  These factors have impacted the game, but surprisingly the foreign position players appear to have had a lot less of an impact on the games in comparison to the change in baseballs.  In this article I will be comparing the 2012 season to the 2014 season.  These comparisons will be used to show that the gaudy offensive numbers that are being put up this year may not be as impactful towards winning as you may believe.

 

The 2012 baseball season was a fairly typical baseball season in the KBO.  The departure of Lee Dae-Ho, the return of Lee Seung-Yeop and Kim Tae-Gyun, and the emergence of Park Byung-Ho were some of the main stories about offense in the KBO for that season.  During the 2012 season, the KBO still had only 8 teams.  These 8 teams scored a total of 4380 runs over 532 games.  This meant that the average game consisted of 8.2 runs or 4.1 runs per team.  During the 2012 season, there were 615 home runs hit.  An average of 1.15 home runs were hit during a game in 2012. 

 

The 2014 season has been nothing short of spectacular offensively.  As of September 10th, we have seen 5762 runs scored over the course of 505 games.  There have been about 11.4 runs scored per game or 5.7 runs scored per team.  We have witnessed about a 40% increase in runs scored from the 2012 season.  We have also seen 1047 homeruns during the 505 games that have been played.  In 2014, we have seen an 80% increase in homeruns produced in comparison to the 2012 season. 

 

To try to simplify what these numbers mean. They mean that a player that hit 10 home runs in 2012 would need to hit 18 home runs in 2014 to have the same amount of home run power in comparison to the rest of the league.  That also means that a player who produced 50 runs in 2012 would need to produce 70 runs to have the same amount of offensive impact in 2014.  

 

These numbers are absolutely staggering. Some people may look to the impact that foreign players have had on the lineup toward the increase in offensive output.  Others may look at watered down pitching and some may say that hitters have just gotten better.  I will use Nexen infielder Kang Jung-Ho, Lotte outfielder Son Ah-Seop, and Hanwha first baseman Kim Tae-Gyun as examples of why I believe that the new baseballs have made a bigger impact than any of these other potential factors.

 

Kang Jung-Ho has been the talk of Korea recently.  His monster numbers look like something that would be found in a game of Magu-Magu.  With talks of seeking a major league contract, it is important that major league teams take a closer look at Kang before investing in him long term.  During the 2012 season, Kang smacked 25 homers, 32 doubles and ripped off 21 bags in a season that required MVP consideration.  With an OPS of .973, Kang’s performance equated to 20% of the average offensive output for an entire team during the 2012 season.  In 2014, Kang already has 38 homers and 33 doubles and an OPS of a remarkable 1.219!  If Kang would have put up these numbers in 2012, his offensive impact would have been 31% of a team’s entire offense, but in 2014 that number is 22%. While these numbers are spectacular, Kang’s offensive impact in the 2012 season to the 2014 season has increased 2% not the 11% that is the common perception.

 

In my opinion, Son Ah-Seop is one of the most fun and exciting players to watch in the KBO.  In his 2012 season, Son hit .314 with 5HR and 58 RBI.  Those numbers equated to about 14% of the average output for a team in a game.  Currently through 113 games in 2014 Son is hitting .360 with 14 HR and 64 RBI.  His homerun total is on pace to triple this season.  If Son were to have put up his 2014 numbers in 2012, he would have directly impacted 25% of the runs that were scored. In 2014 that number drops to 17%.  Son’s increase in offensive output has been slightly better than the league average even though foreign first baseman Luis Jimenez has missed significant time due to a knee injury.

 

The final player I will mention is Hanwha’s first baseman, Kim Tae-Gyun.  It appears that Kim puts up the most consistent numbers out of anybody in the KBO. In his return from Japan in 2012, Kim hit .363 with 16 homers and an OPS of 1.010.  In 2014, Kim is hitting .369 with 16 homers and an OPS of 1.039.  At first glance, it appears that Kim is having a nearly identical season to the one he had in the 2012 season.  Kim is also in a lineup that features the addition of Jeong Keun-Woo, Lee Yong-Gyu, Felix Pie, and Kim Tae-Wan.  Kim has helped Hanwha score more runs in 2014 than he did in 2012. But in reality, Kim has had much less of an impact on the outcome of the game this season because of the increase of offensive production throughout the league.  In 2014, Kim is directly impacting 17% of the runs in a game.  In 2012, Kim directly impacted over 21% of runs scored. 

 

Before reading this article, I would assume that nearly every fan, front office member, and player in the KBO would immediately say that Kang Jung-Ho’s 2014 offensive production has clearly and undoubtedly had more impact on winning than Kim Tae-Gyun’s 2012 season.  However, both of the seasons are worthy of significant recognition and both players have had a direct impact of nearly the same percentage of runs that were scored in each season respectively. 

 

The three players that I have mentioned are clearly some of the best offensive players in the KBO and are a huge asset to their teams.  I used these players as an example for three main reasons.  They have had consistent output throughout their career, they play on separate teams with different park factors in different cities, and they have had a significantly different type of output from their foreign position players in 2014.  With all of these factors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known variable factor that has changed from the 2012 to the 2014 season is the balls.  In the future, there may be variable unknowns that we will learn about from the 2014 season, but I believe that it is safe to say that the change of baseballs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ffensive outburst in the KBO. When eval‍uating players, it is important to take all known factors into consideration to help you make the best decision possible.



위 본문은 라이언 사도스키 트위터에 가시면 ms워드파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음. (한글/영어 둘다 있음)
https://twitter.com/incugator/status/510292202816147456

이 형님은 그냥 선수 말고 스카우터 하시는게..

  1. 회원 차단, 스티커샵 기능 추가 안내

  2. KFOOTBALL iOS 앱(v1.0) 배포

  3. 사이트 안내&이용 규정 (17. 3. 3 개정)

  4. [개야공] 분위기 파악 못하는 칰런트...

  5. [개야공] 비가 와서 채널 돌렸다.

  6. [개야공] 비단 야구에만 적용되지 않는 오늘자 허구연

  7. [개야공] 비와라비와라마산에비와라

  8. [개야공] 빌리장석의 또 다른 도전

  9. [개야공] 빌어먹을 김영민

  10. [개야공] 빠따 존나 재밌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1. [개야공] 사도스키 - KBO 2014시즌 타고 현상에 대한 설명

  12. [개야공] 사람이 한 번 실망을 하게 되면 끝까지 가는구나

  13. [개야공] 사실 리얼블루라는게 축구보다는 야구쪽에서 성공해서 이쪽으로 접목시키려고 하는게 큼.

  14. [개야공] 사실 크보는 12년에 주작 처음 터졌을 때 더 파고들어야 했지

  15. [개야공] 사실 포인트빵 진행중

  16. [개야공] 사장도 모르게 감독 교체될뻔한 롯데

  17. [개야공] 삼라 어제 오늘 완전 병신이네

  18. [개야공] 삼성 아시아 시리즈 첫 상대가... ㄲㄲ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92 1293 1294 1295 1296 1297 1298 1299 1300 1301 ... 10694 Next
/ 10694
.
Copyright ⓒ 2012 ~ KFOOTBA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