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축구

이사회 결과 떴다 하나하나 뜯어보자

by roadcat posted Jul 21, 2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국프로축구연맹(총재 권오갑, 이하 ‘연맹’)은 21일 서울 종로구 축구회관 5층 집현전에서 2016년 제 3차 이사회를 열고 클럽 규정 개정 및 아시아축구연맹(AFC) 클럽 라이선싱 규정 관련 신규 위원회 구성 안건을 심의했다.

→ 그래 함 썰 풀어보소 ㅇㅇ

□ K리그에서 군팀을 운영하는 클럽이 자체 연고 클럽을 창단할 경우 해당 군팀의 최종 성적에 따라 참가 리그를 결정하는 기존의 규정을, 이사회가 결정하는 것으로 개정했다.

또한 K리그 클래식의 강등팀 수와 K리그 챌린지의 승격팀 수는 각각 매년 최대 2팀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클럽의 파산, 탈퇴, 해체, 징계 등의 변수 발생’에 따른 승강팀 결정은 이사회의 결정을 따르도록 규정을 개정했다.

→ 규정 개정해서 당장 올해는 어떻게 할건데?! 아놔 이건;;;;; 그럼 정규리그 다 끝나고 한번 더 이사회 연단 이야긴데.. 이렇게 막 하면 구단 행정에 미치는 과부하는 어떻게 하려고..

□ 연맹 상벌규정에서 징계시효(5년)를 적용하지 않는 항목으로 승부조작, 불법도박, 심판매수 등과 함께 입학(입시)비리가 새롭게 추가됐다. 또한 입학(입시)비리로 형사법적 처벌을 받은 경우 제명한다는 규정도 신설했다.

최근 ‘체육특기자 입학비리 근절 특별 전담팀(문체부, 교육부, 경찰청,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한체육회)’이 가동되고 체육특기자 입학비리에 대한 강력한 제재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체육특기자 입학비리의 철저한 근절을 위해 규정을 강화했다.

→ 크으 입학비리도 항목에 추가 ㅋㅋ 이건 진작에 했어야..


□ AFC 클럽 라이선스 발급을 위한 클럽자격심의위원회(FIB), 클럽자격재심위원회(AB) 구성안을 심의 의결했다. ‘AFC 클럽 라이선스 발급 기관은 구단이 제출한 자료를 토대로 라이선스 발급을 위한 클럽자격심의위원회와 클럽자격재심위원회를 설치해야 한다’는 AFC 클럽 라이선싱 규정에 따른 조치이다. 지난 1월 대한축구협회(이하 ‘협회’)는 클럽 라이선스 발급 기관을 K리그로 위임하고 클럽자격심의위원회는 연맹이, 클럽자격재심위원회는 협회가 맡기로 결정한 바 있다.

→ 이거야 뭐.. 국제 룰에 맞춰 책임기관 정하기고..


□ 8월중 개최 예정이었던 올스타전은 취소하기로 중론을 모았고 개최여부는 추후 재검토 하기로 했다.

→ 잘했다 이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