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나저나 오늘 저녁에 치킨이나 시키려고 하다가 문득 떠오른것

by 짤방왕정지혁 posted Jul 26,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요즘 치킨값이 평균적으로 2만원을 넘거나 2만원에 근접한 가격대로 형성되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에 대해서 내가 생각하고 있는것이 있음.

 

 

1. 치킨값이 오르는 이유는 치킨에 들어가는 식재료의 원가상승이 주원인이다?

 

치킨업계에서 항상 하는말이 가격이 올라가는것은 세계적 곡물가의 상승이 원인이라는 말을 자주 했음.

하지만 올해 6월에 시카고 상품거래소 기준으로 잡았을때 세계적으로 '엘니뇨'현상의 우려로 옥수수나

기타 곡물들의 상승폭이 클것으로 예측은 했지만, 아직까지 큰 변동은 없음. 게다가 밀 최대생산국가중

하나로 유명한 나라가 우크라이나인데, 우크라이나가 현재 분쟁중이라고 해도 밀 수출량이 줄어들면

상당히 곤혹스러운 우크라이나이기 때문에, 우크라이나도 나름대로 밀 수출에 대한건 신경쓰고 있는데

다가 우크라이나와 반정부군의 핵심 지역은 우크라이나 밀 곡창지대를 전부 포함하는게 아님.

게다가 치킨의 경우는 다양한 재료가 들어가지만 가장 핵심은 닭.

 

 

2. 그러면 닭값이 문제일까?

 

올초에 한국육계협회에서 밝힌내용에 따르면 1kg당 4077원에서 19% 하락한 3308원으로 인하함.

물론 치킨 비용에는 인건비와 기타 비용들이 추가로 들어가지만, 닭한마리에 2만원을 넘나드는

가격이 형성될까? 까놓고 말해서 순살치킨 좋아하는 횽들도 있을거임. 근데 알다시피 순살치킨의 경우

닭강정도 마찬가지지만 국내산도 있지만 브라질산 닭이 상당히 많음.

 

근데 내가 확인했던것중 하나가 브라질 닭의 가격이었는데, 브라질 축산가공업체중 유명한 Sierra 라는

곳이 있음. 인터넷으로 검색해봐도 닭다리살 정육 2kg이 9000원대로 형성되어있음. 기본적으로 브라질 닭이

우리나라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닭보다 더 큰지라, 가격이 더 싸겠다고 할수도 있겠지만, 이미 내가 윗줄에서

말한대로 19% 하락한 3308원으로 가격대가 형성되어있다는걸 고려하면 이 문제는 결국 닭값에도 문제가 없다는

소리임. 그리고 한국육계협회쪽에서 밝힌내용에는 치킨값이 상승하면서 기본적으로 국내 닭수요가 줄어들었다는

말을 했음.(뭐 기본적으로 치킨이 비싸져도 설령 치킨이 없다고 해도 닭의 소비는 사라지지 않겠지만, 우리나라에서

치킨이라는 식품이 주는 영향은 꽤 큰편)

 

3. 치킨값 상승의 주원인은 결국 치킨업체들의 무리한 경쟁

 

이게 내가 하고싶은말이고 내가 생각하는 주원인이라고 봄. 생각해보면 우리나라는 이 작은 땅덩어리에

치킨업체가 엄청나게 많지. 유명한 브랜드나 별로 유명하지 않은 브랜드까지 포함해서, 예전에 뉴스기사에도

한번 나온적있지만 어떤 지역은 치킨집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은곳에 치킨집이 또 있다는 얘기도 있으니까.

솔직히 우리 지역도 좀 그래. 근데 이 문제의 핵심은 치킨업계에서 '큰손'이라고 할수있는 거대 업체들의 문제야

너도나도 연예인들을 고용해서 광고를 하거든, 서로 경쟁을 하다보니 미친듯이 스타들을 고용하는거지.

시장체제에서 경쟁이 없으면 시장체제가 애매모호 하지만, 홍보 및 마케팅에 무리한 투자를 하면 결국 소비자에게

피해가 전가되는거지. 장사꾼들이 땅파서 장사하는것도 아니고 장사꾼들은 웬만해서는 손해보고 장사하지는 않음.

보통 광고를 하는데 있어서 유명인사를 쓴다는건 비용상승을 예상하기가 상당히 힘들어.

 

 

예전부터 느껴왔던거지만 지금 또 글을 쓰다보니 참 암담하다...

 

솔직히 이 문제의 해결책이 무엇일까? 라는 문제에 직면하면 어떤걸 먼저 해결하는게 올바른 수순인가? 라는 문제에

빠져버리니... 이럴때는 그냥 치킨시장에 새바람을 넣어줄 대안이 등장했으면 싶다..

 

 

 

 

ps. 예전에 모회사 가 자신들은 좋은 재료를 넣어 건강을 생각했기때문에 가격이 좀 높게되있다는게 떠오른다

 

그리고 그런걸 봤던 나는 "미친놈들아 건강생각하면 백숙을 쳐먹지 내가 치킨을 쳐먹겠냐?" 라는 의문이 들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