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북패는 3-1-4-2, 인천은 4-5-1로 라인업을 꾸렸음요.
북패가 생각보다 전방압박을 잘하더라. 실점이후 인천 스스로 말린것도 있지만..
전방압박 하는거랑 후방에서 롱패스는 우리보다 정확했고, 압박당해도 패스플레이가 되는 모습이었음.
2. 시민구단 사정상 어쩔수없는 부분일수도 있지만
오늘처럼 경기가 안풀리거나 그럴때 그라운드에서 선수들을 독려할 베테랑이 없는게 큰문제인듯.
젊은 선수층?에 시즌마다 급조되는 스쿼드상 조직력이 안잡힐수밖에 없는데.. 정신적으로라도 의지할 베테랑도 없는부분
(예를들면 김남일이라든가.. 남일킨이라든가..)
3. 수원전 후반전처럼 패스 주고받으면서 풀어나가면 될텐데..
계속 롱패스만.. (북패 수비진 머가리에 다 걸리고, 안걸리면 부정확한 패스라 아웃되고)
조수철-김도혁 보다 조수철-김동석이 중원에서 볼점유하고 패스하는게 조금 나은듯.
김도혁이 여러모로 다른 중원자원들보다 실력이 낫지만 (오늘만큼은) 공격을 풀어주기엔 패스 정확도가 많이 후졌음.
(부상이었다가 선발로 나온지 얼마안되서 그런거라 믿고싶다..)
지금시점에선 김도혁-안진범을 써보던가 아님 조수철-김동석이 호흡면에선 조수철-김도혁 보다 조금 낫다고 생각함.
김도혁한테 2선까지 올라가면서 공격을 전개 시키는 역할은 무리인거같기도 하고
김도혁한테 어울리는.. 저번시즌같은.. 롤을 부여하는게 맞다고 봄.
4. 수원전 후반전에 권완규가 거의 윙포워드처럼 침투하면서 공격했었는데
오늘은 북패의 롱패스를 의식해선지.. 박대한,권완규 둘다 수비적으로 곧잘했지만 너무 내려가있었음.
풀백이어도 어느정도 올라와 있다가 바로 압박을 해서 탈취하고 바로 역습 나가는 패턴도 있을수 있는건데
너무 내려가있었음.
5. 후방에선 중앙 미들 거르고 패스를 한번에 보내고, 풀백들은 뒤쳐져있고.. 전방의 공격수들이 고립 될수밖에 없었음.
수비나 다른부분은 김도훈 감독 아래에서 나름 잘 다듬어져가는게 보이긴하는데
공격을 푸는 방법에 있어선 아직 대책이 없는거 같음
6. 후방에서의 롱패스로 케빈을 전봇대로 쓰거나 수비 뒷공간으로 들어가는 윙어들한테 한번에 보내는게 주 루트면
2선에 한명 더 추가해서 4-2-3-1 포메이션으로 가는건 어떨까싶음.
포메이션이란게 숫자놀음이고 공격시나 수비시에 대형자체가 조금씩 변하긴 하지만
2선으로 한명 더 올려놓으면 케빈이 떨구는걸 우리 선수들중 하나가 받을수있는 확률도 늘어날테고
침투하는 선수들 근처에서 패스를 주고받으면서 들어가는 플레이도 가능해질거 같다는.. 망상을 해봄.
ㅅ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