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축구

한국프로축구연맹 2015년 제1차 이사회와 정기 총회 결과.

by 현이 posted Jan 19,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국프로축구연맹 2015년 제1차 이사회와 정기 총회 결과.

- 2014시즌 각 구단의 유료 관중수 및 입장수입. K리그 클래식 총관중은 181만189명이며 경기당 평균관중 7905명, 객단가 3459원이며, 수원(총 37만2551명, 평균 1만9608명), 서울(총 32만3244명, 평균 1만7013명), 전북(총 24만9954명, 평균 1만3155명) 순으로 많은 관중을 모았다. 객단가에서눈 서울이 6322원(유료관중비율 87%)으로 가장 높은 수치 기록. K리그 챌린지는 총관중 22만4466명, 평균 1227명, 객단가 2435원. 대전이 가장 많은 경기당 3197명을 모았고, 안양이 객단가 3231원(유료관중비율 64%)으로 가장 높은 수치.

- 이사회는 각 구단별 광고사용료 지급에 대해 구단별 관중에 따른 차등지급제도를 폐지하기로 의결.

...

- 연맹의 2014년 경영실적은 수입 242억 4천만원, 지출 225억 6천만원이며, 2015년 사업계획 예산은 수입 247억 1천만원, 지출 241억 6천만원으로 심의, 승인. 연맹은 2015년 '리그 스트럭쳐 고도화'와, '비즈니스 자생력 마련'을 경영목표로 세우고, '리그 시스템 업그레이드', 'K리그 콘텐츠의 경쟁력 강화', '이윤 창출 체제 전환으로의 기틀 마련', '2부리그 행정 밀착 지원'을 중점추진과제로 정했다.

- 2015년부터 실시하기로 했던 25인 로스터제도 폐지. 25인 로스터제도는 제정 당시와 적용 시점상의 축구계 환경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폐지하기로 했다. 2016년부터 R리그(2군)도 부활한다. 2012년까지 운영되었던 R리그는 2016년부터 구단별 상황을 고려, 자율 참가를 원칙으로 재운영 된다. 단, 참가 희망 구단이 적을 경우 운영을 재검토 하기로 했다. 또한, K리그 산하 유스팀은 기존 하계 고등전국대회는 참가하지 않는다. 대신 K리그 산하 유스팀간 별도의 하계 고등전국대회를 창설한다.

- 전임심판제를 폐지하고, 전담심판제를 도입한다. 전담제가 시행되면 특정 인원과의 계약이 아닌 프로 경기를 볼 수 있는 가용 심판 인원을 상시 운영하게 된다. 또한, 가용 심판 인원이 2014년 기준 46명에서 약 70명까지 늘어나 심판간의 무한경쟁이 가능해진다.

- 2015시즌부터 군팀 선수의 원소속팀 출전 금지 제도가 폐지된다.

- 허정무 전 대한축구협회 부회장은 연맹 부총재에 선출됐다. 허정무 부총재는 경기위원장을 겸임하며, 심판위원장에는 조영증 위원장이 임명됐다. 김천수 안진회계법인 상무이사는 감사로 선출됐다. 신임이사 4명도 선출됐다. 신임이사에는 이철근 단장(전북현대), 장석수 대표이사(제주), 임은주 대표이사(강원), 한규정 단장(충주)이 선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