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베트남의 충돌원인

by 노비판매왕백삿갓 posted May 18,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축구암환자 횽이 궁금해 하는거 같아서 설명해줄게


2011091896851_2011091849991.jpg

저위에 파라셀군도 (중국명으론 시사군도 베트남명으론 호앙사)에 대한 영유권 갈등으로 일어난 문제야.

원유라는 전략자원이 매장되있는 있는 지역이기도 하지만 현 중국 인민해방군의 남중국 지역 해상활동

으로도 전략적 가치가 있는 지역이지. 베트남으로썬 중국의 영토야욕에 대한 비수의 역할을 할수도 있고

원유의 가치또한 존재해.


-사건개요-

작년 10월에 리커창 중국총리와 응웬 떤 중 베트남 총리간에 남중국해 공동자원개발에 대한 협의가

이뤄졌는데, 이건 중국이 7개월만에 깨버리면서 관계가 악화됐음, 물론 이전에도 이문제로 충돌이

있던지라 이 문제는 불난곳에 기름부은꼴이지.

중국이 이전에 파라셀군도에 일방적으로 원유시추시설을 건설하면서 베트남은 이에 반발했지

그 이전부터 중국이 방공식별구역을 확대하면서 아시아 대부분이 중국의 이러한 조치에 반발했고

특히나 동남아국가들은 이로인해 미국이나 러시아에 많은 무기구매를 타진하고 있는 상황이고

근데 일단 저 파라셀군도는 베트남측에선 "자신들의 EEZ내에 포함된 지역이며 중국의 행동은

명백한 도발행위다"라고 했고, 이에 중국은 베트남내에 반중시위가 심화되면서 일단 알고있는상황은

현재 2명의 중국인 사망, 100여명이 넘는 중국인이 부상을 입었다는것 그래서 중국인들의 신변

때문에 비행기편으로 베트남내 거주하는 중국인 3000명을 일단 귀국시킴. 또한 중국정부 성명으로

이러한 베트남 행동은 중국에 대한 도발행위라고 선언했고, 베트남은 여차하면 베트남과 접경하고

있는 중국의 국경선을 공격하겠다고 나오고 있지.


720.jpg

(이게 남사군도)


-파라셀군도의 전략적 가치-

파라셀 군도는 생각보다 대단한 지역이야. 중국쪽에서 파라셀군도에 목숨을 거는 이유중 하나는

파라셀 군도 지역에 매장되있는 천연가스의 매장량을 16조㎥로 예상하고 있고 석유매장량은

300억t이라는 조사가 나왔지. 추가로 저 지역은 세계 해상물류이동지중 하나인데 전세계의 물동량

의 30%가 저 지역을 지나는데, 이건 수에즈 운하의 수배에 달하는 수준임. 중국이 수입하는 원유도

80%가 남중국해를 지나야되는 상황이고 이건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야.

물론 파라셀군도 말고 스프래틀리 군도도 있어, 이곳도 원유매장과 기타 자원이 있고 지역을 보면

스프래틀리 군도의 전략적 가치는 파라셀군도와 비슷하거나 혹은 더 높지.

1980년대 중국과 베트남이 이것때문에 해상전투가 벌어졌는데 이때 당시 베트남은 군함2척과

해군 70여명이 전사하면서 중국이 승리했고 중국은 스프래틀리 군도의 존슨암초를 현재 실효지배중임

물론 스프래틀리 군도를 둘러싼 주변국의 이해관계는 대만과 필리핀,브루나이,말레이시아,중국과 베트남

등이 서로 충돌하고 있음. 물론 파라셀 군도도 1974년 중국과 월남정권의 해상충돌도 있었고 그 결과

그때 파라셀군도의 일부지역을 획득했지.


-파라셀,스프레틀리 군도와 남중국해의 전략-

left21_79_01.jpg


중국의 무섭고도 지나칠정도의 성장은 냉전시대와 소련붕괴이후 완벽한 1인자로 세계패권을 좌지우지하던

미국에겐 적신호와 같았지. 냉전당시 소련의 강력한 군사력, 과학기술등에 두려움을 느꼈고, 미국은 레이건

정부때에도 소련이나 동조하는 국가들에 대한 강력한 정책을 내세웠지.그 이후 소련이 망하고 지금 중국이

들어섰는데, 중국은 확실히 소련과는 다른국가야. 중국은 아시아에서 경제적으로나 외교적으로도 아시아에

서 가지는 비중이 큰 국가지. 미국이 현재 대중국포위전략으로 보는 지역중 한국과 일본은 중국입장에서

무시할만한 국가들은 아니야. 일본은 해상전력이나 공군전력이 강하기 때문에 중국에게 위협적인 공격은

하지못해도 충분히 중국에게 큰 타격은 입히진 못해도 중국 해상에대한 소극적인 타격과 밀릴경우

완벽한 방어를 할수있고, 한국의 경우 중국이 무시하지못할 아시아권에서 강력한 육군전력을 갖춘 육군왕국

이지. 인도는 이미 미국이 반중국의 이해관계에 동조했고, 몽골또한 미국의 전략적인 이해가 같은 국가야.

하지만 동남아 지역은 생각보단 미국의 이해관계에 크게 동조하지 못하는 불안한 포위망이 된거지.

특히나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사태가 생기면서 미국이 어느정도 발을 넣었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와 동유럽

국가들에 대한 전략이 너무 잘맞아떨어졌어, 특히나 과거 러시아와 조지아간에 일어난 전쟁으로 친미로

갈아타려던 동유럽 국가들이 러시아의 행동에 두려움을 느낀결과 러시아를 무시하지 못하게 되면서

미국의 입장이 난처해졌지. 



- 이문제는 우리나라도 난감함 -


우리나라 원유나 해상물류는 일단 남중국해를 거쳐서 오게되지. 단순히 우리나라만 그런게 아니라

일본도 마찬가지야. 애초에 남중국해에 대한 중국의 입김이 강해지면 강해질수록 아시아의 많은국가들이

피보는건 당연하지. 물론 일본이 과거에 우리나라와 전쟁을 하면 해상을 포위해서 말려죽인다는 개소리를

했었는데(일본이 남한을 해상봉쇄하면 주변 인접국가(특히 중국)과의 영토소유가 걸리고 남중국해를

차단하기엔 국제적으로 쓰는지역이라 문제가 생김)중국의 영향력을 생각하면 쉽게 볼일은 아님.

실제로 중국의 남중국해에 대한 해상영유권 확장이나 방공식별구역 확대는 아세안과 기타 국가들에

참여를 촉발하고 있고 심지어 러시아는 중국과의 연대를 위해 합동해상훈련을 준비중이지만 베트남의 경우

러시아무기를 꽤나 사주는 국가라 애매하지.